마음 우리는 항상 왜곡할 준비를 하고 있다.... 만일 사람들이....늘 어떤 사건...어떤 사람...그리고 자기자신에 대해서 저런 생각에 깨어 있으면......좋을 듯 하다....^^ 일상다반사/짧은 생각 긴 느낌 2012.04.17
9월 마음강좌 원 장 님: 모두들 한 달 동안 무탈하게 잘 지내셨는지요^^ 그런것 같아요 "마음이... 내 마음에 끄달려 가지 않는다"는 표현을 쓰잖아요 타성에 젖지 않는 것 참~ 필요할 것 같아요. 대부분 사람들이... 아주 특별한 환경을 선택하지 않는 이상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의 패턴이라는 건 굉장히 제한적이지 .. 자성의 집 이야기/김상욱님의 정신과학 2011.10.17
시간 공간 그리고 생각 시간과 공간은 마음이 만들어낸 환상(幻像)이다. 유일한 시간은 지금. 유일한 장소는 여기. 지금 이 순간은 생각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 생각할 때마다 항상 당신은 과거의 어떤 것이나 미래의 어떤 것을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레너드 제이콥슨 조은 글 조은 마음/그리고..또 2011.09.28
天 천... 하늘... 마음을 뜻합니다. 의식이 자신을 느끼기 위한 수단으로 쓰기위해 스스로 만들어낸것 입니다. 모든 정신적 산물의 총화이지요 생각하는 것... 느끼는 것... 정신으로 지어내는 모든 것.... 이 모두가 마음의 산물입니다 이 마음이 있기에 우리는 살아있음을 알고 또 살아서 느끼고 있는 것입.. 자성의 집 이야기/천부경-존재의 실상 2011.08.21
마음이란 무엇인가? 마음.... 그것은 모든 것입니다. 우리를 있게 하고 우리가 살아있음을 알고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것을 만들어가는 바로 그것이지요 이것을 다른 표현으로 의식이라고 부를수 있는데 의... 의도, 뜻, 의지 식... 앎, 바라보고 지켜보는 그것 으로 나눌수 있고 이 의식에 의해 모든 것이 창조되고 또 경험.. 길이야기/영혼이 전해주는 이야기-자성의 집 2011.01.27
0 과 1....虛眞不二 0은 우리가 보통 참나 또는 진아(眞我)라고 부르고 알고 있는 그것입니다.그 참은 없는 것 즉, 무(無) 공(空)이지요그리고 1은 마음...에고(ego)라고 부르는 에너지, 의식입니다.그 자체로서는 존재할 수 없는 허상이지요0은 모든 생명의 근원인 영(靈)이요... 혼(魂)은 마음 즉 에너지 인 것입니다.영...혼..... 자성의 집 이야기/천부경-존재의 실상 2010.09.17
천부경 - 육(6) 육(6)은 새로운 하나의 우주가 만들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오(5)의 상태에서 불완전하던 의식이 다시 일(1)을 만나 또 다른 우주를 완성하게 되는것입니다. 이는 삼(3)의 우주와는 전혀 다른 상태로서 자신의 마음뿐만 아니라 타인의 마음까지도 수용하고 포용하는 단계에 들어간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자성의 집 이야기/천부경-존재의 실상 2010.09.03
김상욱님의 천부경(1) - 일시무시일 석삼극 一始無始一 析三極 처음에 O이 하나로서 느낌(天)과 형체(地)와 생각(人)으로 분리되었다. 3가지의 또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니 이것이 곧 天, 地, 人, 즉 마음과 형상과 생각이라... 마음(天)은 0이 자신을 느끼기 위한 도구이니 자신이 '있음'을 마음을 통해 느끼고 있다. 형상(地)은 우주의 행성과 자연 .. 자성의 집 이야기/천부경-존재의 실상 2010.08.31
6. 6과 9의 우주에 대한 이해 <김상욱님의 글> 우주의 에너지의 공간장은 의식의 굴절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이때 그 의식의 크기에 따라 즉, 그 의식의 수용정도에 따라 에너지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입니다. 6의 우주는 확장하고 있는 의식의 한부분으로서 자신의 의식이 우주공간에 넓은 영역을 이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신이 그 일부로서 자신.. 자성의 집 이야기/김상욱님의 정신과학 2010.01.10
우주의 작동원리 (1) --- 기본적 구조 우주는 생각으로 가득차 있는 공간입니다. 사람이라는 하나의 생각은 자신을 나라고 믿고 그렇게 알고 있는 생명체 입니다. 그리고 그 몸은 컴퓨터의 회로와 같은 작동을 하는 하나의 유기체입니다. 이제 한 사람이 어떤 생각을 하게 되면 우주에 있는 수많은 생각들중의 하나와 같은 생각을 하는 것.. 자성의 집 이야기/김상욱님의 정신과학 2010.01.07